‘나홀로’ 택시승객 2200→1800원인 곳은 어디?
‘나홀로’ 택시승객 2200→1800원인 곳은 어디?
부산 내년초 ‘작지만 싼’소형택시 상륙
Q: “기본요금이 각각 1800원과 2200원인 소형택시와 중형택시가 동시에 서 있다면 어떤 것을 골라 타시겠습니까?”
A1: “당연히 소형택시 타죠. 나 혼자 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큰 차가 뭐 필요하겠어요.”(김정운. 23세. 서울 도봉구)
A2: “소형택시를 선택하겠어요. 값도 싸지만 왠지 막히는 도로를 휙휙 잘 빠져나갈 것 같아요.”(정영미. 40세. 서울 관악구)
A3: “학생이 돈이 어딨어요. 부득이하게 택시 탈 땐 100원 올라가는 소리에 심장이 두근두근한데”(김정연. 17세. 서울 강남구)
부산의 택시요금이 지난 1일부터 20%가량(중형택시 기준) 올랐다. 2㎞까지 기본요금이 현행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되었기 때문이다. 부산에 이어 대부분 전국 지자체들도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와 협의를 거쳐 부산과 비슷한 수준으로 늦어도 내년초까지는 인상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시민들과 일부 택시업체, 환경단체 등에선 요금을 저렴하게 책정할 수 있는 소형택시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부산에서는 국내 최초로 내년 1월부터 배기량 1500cc 미만의 소형 택시를 운행할 예정이어서 이들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택시요금이 부담스러워 이용을 꺼리는 알뜰족이라면 실내 공간이 좀 좁더라도 요금이 싼 택시가 등장하길 기다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전국적으로 배기량 2000cc급 중형택시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간혹 소형택시를 만나도 요금은 중형택시와 동일하다.
◇2200→1800원선=부산시는 시민의 대중교통 선택권을 높이고 택시업계의 경영난에도 도움이 되는 소형택시제 도입을 지난해부터 추진해왔다. 지난해 10월 부산 지역 택시 2만5000여 대를 대상으로 소형 택시 수요 조사를 벌인 결과 법인택시 676대와 개인택시 122대가 소형 택시로의 전환을 희망했다. 부산시는 이중 법인ㆍ개인 택시 면허자에게 500대 가량을 인가했고 앞으로도 1000여 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소형택시 차종은 LPG 1500㏄ 미만급 베르나와 프라이드로 결정됐고 현재 차 구조와 미터기 변경 작업을 진행중이다. 요금은 일단 중형택시 요금의 80% 선인 1800원으로 결정한 상태다.
소형택시는 연료비를 중형택시의 20%(월 12만원 정도)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부산시가 최근 아반테급 준중형 택시를 도입ㆍ운행하는 서울 일진운수로부터 ‘중형택시 대비 리터당 연비’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또 차량구입비 절감과 배기가스 감소,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부산시 대중교통과 이병수 주사는 “택시 관련 정책도 공급자 위주에서 벗어나 승객 입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소형과 중ㆍ대형 택시의 쓰임새가 다른 만큼 다양한 요금체계로 시민의 교통 선택권을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전국 확대 시행 걸림돌은=부산을 제외한 15개 시도와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아직 소형택시 제도에 대해 당분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소형택시는 1988년 서울 올림픽 전후로 정부가 ‘택시 고급화와 양질의 서비스’ 방침을 세우면서 없어졌다. 이후 환경ㆍ시민단체 등에서만 요금인하ㆍ연료절감ㆍ환경오염 개선 등의 이유로 소형택시의 제도화를 주장하고 있다. 경제가 악화된 IMF위기 이후 소형택시 도입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됐지만 각 지자체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왔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소형택시에 대한 정책 검토를 해본 적이 없다”며 “수요가 많다면 논의해 볼 순 없지만 현재까진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의 소형택시 생산대수도 부족한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LPG택시는 면세차인데다가 소형택시는 수요도 많지 않다”며 “정부의 지원도 없고 마진도 적기 때문에 만들기가 꺼려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토해양부의 입장도 비슷하다. 대중교통과 한 관계자는 “택시 면허권 부여는 각 지자체에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소형택시 제도를 시행할 순 없다”며 “택시업계의 요구가 있어 지난 8월 모 자동차 제작업체 측에 소형택시 생산 방안을 타진해 보았지만 별다른 반응이 없다”고 말했다. 소형 택시가 본격 도입되려면 중앙 정부와 각 지자체, 자동차 제조업체, 택시조합 등의 ‘4각 협조’가 급선무다.
2008.10.6(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