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홍보채널 > 보도자료
보도자료

버스·택시 공회전 “스톱”

 

버스·택시 공회전 “스톱”


수도권 75대에 멈추면 시동 꺼지는 장치 시범 부착

내년 500대로 확대 … 2010년께는 전면 보급 계획



시내버스나 택시가 도로를 달리다 신호등·정류장 앞에서 멈추면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는 장치가 도입된다. 엔진 공회전을 억제해 연료비를 아끼고 매연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환경부와 서울시는 이달 말부터 5개월 동안 서울·경기·인천의 시내버스·택시 75대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달아 시범운행을 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범운행을 통해 사고 위험이나 승객들의 불편을 점검한 뒤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내년부터 확대할 예정이다.


공회전 제한장치는 기어를 중립에 놓고 5초 이상 차량이 멈추면 엔진이 정지되고, 기어를 바꾸면 다시 시동이 걸리게 하는 전자장치다. 클러치(수동의 경우)와 속도계 등에서 보내는 전자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작동한다. 대당 가격은 60만원 선이다.


장만수 서울시 자동차공해팀장은 “버스에 장치를 달아 실험한 결과 적어도 10%의 연료비가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엔진을 껐다 켤 때 온실가스가 나오지만 1회 평균 40초의 공회전을 줄일 수 있는 것을 생각하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더 크다”고 말했다.


그는 “차량이 멈춘다고 무조건 엔진이 꺼지는 것이 아니라 기어 중립에서 속도계가 0인 상태가 5초 이상 지속돼야 하는 조건이 있다”며 “따라서 교통혼잡으로 잠시 멈출 때는 웬만해선 엔진이 꺼지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이 장치를 제작하는 6개 업체를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 중 5개 업체는 버스, 1개 업체는 택시에 장착하도록 했다. 성과가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에 시내버스 500대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장착하고, 2010년 이후 8000대의 모든 시내버스와 마을버스·택시에 확대 보급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의 모든 시내버스가 이 장치를 달아 연료비를 10% 줄인다면 연간 300억원의 절약효과가 기대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일본에선 2003년 공회전 제한장치를 보급, 현재 100만 대 이상이 이 장치를 달고 도로를 달리고 있다. 일반 소비자가 이 장치를 부착한 차량을 살 때는 일본 정부는 장치 가격의 절반 정도(20만~60만원)를 보조한다.



주정완 기자 [jwjoo@joongang.co.kr]


중앙일보 (2008.11.24)